수혈의 역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8 16:55
본문
Download : 수혈의 역사.hwp
용혈소는 보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용혈을 일으킬 ... , 수혈의 역사기타레포트 ,
Download : 수혈의 역사.hwp( 43 )
설명
,기타,레포트
다.
- 항체의 생산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항원)을 말하며 가장 흔한 항원은 단백질이다. 이 이유는 ABH항원은 적혈구의 표면위로 돌출하고 있는 glycolipid이며 이에 상대하여 Rh 항…(省略)
1) 항체생성 원인(原因)에 의한 분류
(1) 동종항체(alloantibody)
(2) 자가항체(autoantibody)
3. 용혈소(hemolysin) - 응집소와 같으나 그 작용이 적혈구를 용혈시키는 항체이다. 56℃/30분간 혈청을 비동화(①inactivation ②용혈소 방지)시켜 보체를 파괴시키면 용혈소가 존재하더라도 작용은 못한다. 용혈소는 보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용혈을 일으킬 ...
레포트/기타
순서
3. 용혈소(hemolysin)
수혈의 역사






3. 용혈소(hemolysin)
- 응집소와 같으나 그 작용이 적혈구를 용혈시키는 항체이다.
- ABH항원은 체액속에 존재한다. 각 혈액형에 따른 적혈구항원을 보면 A형에는 A, B형에는 B, AB형에는 A와B 그리고 O형에는 적혈구에 항원이 없다. 용혈소는 보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용혈을 일으킬 수 없다.
- ABH항원이 없는 사람(Bombay(OH)형)에서는 용혈성 빈혈을 동반하지 않는다.
4. 항원(antigen)
- 숙주(host)에 이물질적인 것이 비경구적으로 들어가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여 생체내에 특이한 항체를 생성케 하고 또한 생성된 항체는 시험관내(in vitro)에서 항체와 여러 가지 형식의 특이한 성질을 가진 reaction(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항원이라고 한다.
- 응집소와 같으나 그 작용이 적혈구를 용혈시키는 항체이다.
- hapten이 다른 적당한 분자에 붙으면 항원성을 다시 회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