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사소송의 이송 요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02 14:07
본문
Download : 민사소송의 이송 원인.hwp
(2) 이송의 범위
전부관할위반이면 소송전부를 이송할 것을 요하고, 소송의 일부이송은 청구병합의 경우에 청구의…(투비컨티뉴드 )
순서
민사소송의 이송 원인 , 민사소송의 이송 원인법학행정레포트 , 민사소송의 이송 원인
민사소송의,이송,원인,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민사소송의 이송 원인.hwp( 61 )



레포트/법학행정
민사소송의 이송 요인
민사소송의 이송 요인
다. 이에 따르면 법원은 이송신청에 대하여 재판을 하여야 하고, 만일 법원이 기각결정을 한 경우 당사자는 이에 대하여 불복할 수 있게 된다된다.
설명
민사소송의 이송 원인(原因)
1. 관할위반에 의한 이송
(1) 직권이송
1) 의의
관할위반의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직권으로 이송하지 않으면 아니 된다(제34조 제1항). 즉, 직권이송이 원칙인 것이다.
그러나 관할권 있는 법원에서 재판받을 피고의 이익보호가 필요하고, 이송신청권이 인정되는 다른 이송(제35조, 제36조, 제269조 제2항)과의 균형상, 판례는 부당하므로 이송신청권을 긍정하여야 한다는 것이 학설의 대체적 견해이고 타당하다고 보인다.
2) 학설 및 판례
판례는 관할위반의 경우에 당사자에게 이송신청권이 없다고 한다. 따라서 당사자의 이송신청은 단지 법원의 직권발동을 촉구하는 의미 이상은 없고, 법원은 이송신청에 대한 재판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며, 또 이송신청기각결정을 하여도 당사자에게 즉시항고권이 없다고 한다. 이 경우 당사자에게 이송신청권이 있는지에 대해 견해가 대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