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암 김창협의 인물성론과 낙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18 10:42
본문
Download : 농암 김창협의 인물성론과 낙학.hwp
결국 논쟁의 초점은 사람의 기와 사물의 기가 그 도덕 원리를 제대로 ...
,인문사회,레포트






농암 김창협의 인물성론과 낙학
인물성동이논쟁에서 리는 태극. 천명. 일리 등으로 표현되는 도덕 원리이다. . 즉 성의 본모습(본연의 성)은 곧 리(천명)이므로 사람과 만물이 동일하다. 그런데 theory(이론)에 의하면 인간의 기는 정-통이어서 그 이를 완전하게 구현할 수 있지만 사물은 그렇지 못하므로 사람의 성과 사물의 성은 다르다. 물론 동론에서도 이것을 인정하지만, 그 해석은 정반대이다. 결국 논쟁의 초점은 사람의 기와 사물의 기가 그 도덕 원리를 제대로 구현하고 있느냐에 모아진다. 동론에서 기질의 성으로 격하시키고 있는 편전의 성을 theory(이론)에서는 본연의 성이라고 하여 기준으로 설정하기 때문일것이다 결국 비교의 기준인 본연의 성을 무엇으로 보느냐의 차…(省略)
인물성동이논쟁에서 리는 태극. 천명. 일리 등으로 표현되는 도덕 원리이다. 이때 기는 리를 완전하게 구현할 수도 있고 불완전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까지는 동론이나 theory(이론)이 모두 인정을 한다. 도덕 원리가 질료인 기에 부여 되었을 때 그것을 성이라고 한다. 결국 논쟁의 초점은 사람의 기와 사물의 기가 그 도덕 원리를 제대로 ... , 농암 김창협의 인물성론과 낙학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Download : 농암 김창협의 인물성론과 낙학.hwp( 33 )
다.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인물성동이논쟁에서 리는 태극. 천명. 일리 등으로 표현되는 도덕 원리이다. 동론에 의하면 그 성은 기질에 의해 구현된 성, 달리 말하자면 기에 의해 제약된 성일 뿐이지 성의 본모습이 아닐것이다. 그렇다면 theory(이론)과 동론의 차이라는 것은 사람과 사물에 대한 이해의 차이라기 보다는 사람과 사물을 비교할 때의 기준의 차이인 셈이다.